본문 바로가기

상담소는 지금

달리고 싶을 때 달릴 수 있고, 힘들 때 쉬어도 괜찮은 사회

 

‘일상회복’에는 무엇이 필요할까?

: 달리고 싶을 때 달릴 수 있고, 힘들 때 쉬어도 괜찮은 사회

여성신문사 마라톤 Go! 261 기금 지원을 받은 성폭력 피해생존자 M과의 인터뷰 

 

여성신문사는 2020년 ‘Go! 261 Fund!(이하 261펀드)’를 조성했습니다. 261은 캐서린 스위처가 최초의 완주 여성으로 등재된 1967년 보스턴마라톤 대회에서 단 등번호라고 해요. 여성마라톤대회 20주년 맞이 참가비 일부로 조성되어, 폭력 피해로부터 벗어나 안전한 일상 복귀를 지원하고, 꿈을 향한 도전을 응원하는 기금입니다. 

 

Go! 261 Fund 첫번째 지원을 받은 M과 인터뷰를 했습니다. 성폭력 피해생존자의 일상회복, 주거, 생활비, 쉼과 회복, 일과 진로, 미래 계획를 이야기 나누었어요. 성폭력 피해생존자 ‘들’의 상황은 같지 않고 연령, 직업, 지역, 소속 관계망 등에 따라 다르지요. M은 현재 22살의 여성 청년이고, 친족성폭력 가정폭력 아동학대 경험이 있었으며, 10대의 시간을 보호시설에서 지냈고, 현재는 학교를 다니며 여러 일을 하고 있어요. M은 특히 폭력으로 인해 분리되어 유-청소년기를 보육시설에서 지내야 했던 청년들의 자립을 중요한 사회 과제로 꼽았습니다. 한국성폭력상담소 오매, 조은희 활동가가 벚꽃이 화사하게 핀 봄날 오후, 카페에서 M과 만났습니다. 



※ 여성신문사 Go! 261 펀드 소개는 아래 기사를 참고해주세요. 
   ‘안전한 일상 복귀를 지원합니다’ 여성신문 2020.12.31. 

    www.wome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5258

 

안전한 일상 복귀를 지원합니다 - 여성신문

여성신문사는 2020년 여성마라톤대회 2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참가비 일부로 ‘Go! 261 Fund!(이하 261펀드)’를 조성했다.1차로 한국여성재단을 통해 성평등사업기금으로 1000만원을 전달했다. 이 가

www.womennews.co.kr

※ ‘한국성폭력상담소’와 ‘부설 성폭력피해자보호시설(쉼터) 열림터’는 자신이 겪은 성폭력을 문제제기하고 싸워나가는 피해 생존자를 지지·지원하는 여성인권운동단체입니다. 피해로 인한 신체적 심리적 치료에는 소정의 의료비, 소송에는 무료법률지원금 등 국가 범죄피해자지원기금이 최소한의 지원을 하지만, 일상 회복을 위해서는 더 세세한 조건과 환경이 필요해요. 가족, 직장, 배움터, 소속 공간에서 낮은 위치에 있던 피해자가 내부의 차별과 폭력에 문제제기 한 이후 자원이 더 부족해지는 상황에 놓이게 되기 때문입니다. 

 

 

 

상담소(이하 ‘상’)_ M은 열림터를 2019년에 퇴소했잖아요. 어떻게 지내요? 

M_  모든 시설에 있는 아동들이 18세가 되면 퇴소를 하잖아요. 자립훈련이 있지만 막상 나오면 체감이 다른 거예요. 일자리를 구해서 나오면 다행인데, 그렇지 않고 알바를 하며 지내야 하는 때는 경제적 불안감이 심한 것 같아요. 자취를 하면서 행복할 때요? 먹고 싶을 때 먹고 사고 싶을 때 사는, 경제력이 있을 때요. 그 때 제일 큰 만족감이 있는 거 같아요. 

그런데 성폭력이 가족 간에 일어났을 때, 가족의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경우에는 장애물, 고비가 많이 생기는 거 같아요. 아플 때 병원에 가지 못하거나. 아픈데 병원 안가고 타이레놀로 떼우고, 파스로 떼우고. 아플 때 병원 가기가 고민스러워지니까요. 

또래 친구는 편안한 집에서 가정에서 지원 받으며 살고 있는데 저는 바로 사회에 나가서 바로 돈 벌지 않으면 생계가 어려운 거에 대해서 생각해요. 든든한 지원군이 없다고 해야 할까요? 경제적으로든 마음적으로든 그게 없는 게 제일 큰 거 같아요. 제일 비교가 돼요. 사회 생활을 일찍 시작했다 해도 그게 비교가 될 때가 있어요, 열등감, 부럽다, 질투도 들고요. 자존감도 떨어지기도 하고요. 경제적, 심리적 문제가 큰 거 같아요. 

 

 


상_  ’경제적인 든든한 지원군‘이 없다는 것은 언제 더 느껴져요? 

M_  음.. 내가 원하는 거를 못하는 거요. 공부나 자격증을 따는 것 같은 것이요. 내일배움 카드로 배울 수 있지만 대학 같은 전공 공부를 하고 싶을 때.... 학비는 지원 된다 해도 학비나 책이나 그런 것까지 다 지원받기는 어렵잖아요. 좀 더 배우고 싶은 공부나 자격증이 있을 때, 공부하고 싶을 때 공부할 수 있는 거? 그게 어려운 거 같아요. 

고졸도 뽑는다고 하는데, 고졸과 4년제와 2년제가 있으면 고졸은 거의 안 뽑더라고요. 대학교를 가려고 했던 것도 진로가 그 쪽인 것도 있지만 취업이 더 좋아지고 조건이 달라지고 대우가 달라지니까요. 요즘 많이 안 그런다고 해도 일하다보면 티가 나요. 고졸과 아닌 경우 대우가 다르죠. 전공적인 공부를 했냐 안했냐의 차이도 포함하는 거 같고요.

유튜브를 봤는데 청년층 자살 중 한 부분이 아동시설 퇴소자인 경우가 많다고 하더라고요. 저는 소롭티미스트나 여성신문 지원금 다 합해서 1100만원 정도 지원받았는데 저는 운이 좋았다고 생각해요. 제 친구들은 못 받거나 몇 백만 받았을 때 그걸로 시작해야 하는 거예요. 취업에 대한 부담감도 크고요. 극단적 선택을 하는 사람을 보면 공감을 하게 되는 거 같아요. 

그룹홈을 가는 친구도 있지만 그룹홈이 아니라 집 계약을 해서 자취를 하고 현실로 나오면 첫 번째는 돈, 경제가 제일 걸리더라고요. 내가 이렇게까지 아등바등 살아야 하나? 그렇게까지 되더라고요. 눈을 뜨면 회사를 가고, 눈을 감는 시간까지 일하고, 여가도 없고, 여유도 없고. 다 돈이 드니까 사치인 거예요. 그러면 또 거기에서 오는 박탈감이 있어요. 그걸 생각하면 우울해지는 거 같아요. 그럴 때 그 유튜브를 보고 많이 공감하고. ‘현타’가 오면서 제일 힘들었던 때의 우울상태가 지금도 좀 남아있어요.

기초생활수급자처럼 아동시설 퇴소자도 채용 TO를 만들어주거나 하는 정책이 있다면 좋지 않을까요. 기초생활수급자 전형이 있는 거처럼 취업할 때도 그런 전형이 있으면 그 사이에서 좀 더 해볼 수 있지 않을까요. 그냥 일반 분들과 경쟁을 하기에는... 차이가 많이 나는 거 같아요.

사후 지원이라고 해야 하나? 심리상담도 많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저는 범죄피해자 지원센터에서도 심리상담을 받고 있는데 그것 말고도 다양한 걸 할 수 있으면 좋겠어요. 여성폭력상담소에서 의료비 지원을 하고 있잖아요. 피해자에게 300만원 정도 선에서 의료비 지원을. 그런데 시설을 퇴소하고도 심리상담이 필요한데 시설 퇴소자라면 무료까지는 아니더라도 원래 10만원이면 5만원 받는 지원이 있으면 좋을 것 같아요.

   
작년에 목디스크로 안 좋았는데요, 비틀거려서 뇌에 문제가 있나 했거든요. CT는 보험이 되는데 MRI는 보험이 안 된다는 거예요. 입원해서 하루 이틀 입원으로 돈을 받고 치료비를 빼보려고 했는데 안 된다고 해서, 결국 돈을 300만원 빌려서 CT도 찍고 MRI도 했어요. 그것 때문에 스트레스를 계속 받는데 또 영양실조가 온 거예요. 식비가 하루에 1-2만원이라도 들면 한달이면 30만원이잖아요. 너무 많이 드는 거예요. 그렇게 영양실조가 오니 또 다시 내가 이렇게까지 살아야 하나, 하는 압박감이 들더라고요. 

 

 


상_ 500만원 261 기금 전달을 받았잖아요. 예상치 못했던 기금이기도 했을 것 같고요, 그런데 어마어마하게 큰 액수는 아니고... 어떻게 썼는지 쓰고 있는지, 이야기해줄 수 있다면 들려주세요. 

M_  받은 500만원 중 200만원은 통장을 따로 만들어서 학자금으로 해놨어요. 대학을 갔잖아요. 법학과에. 교재비용도 나가고 그러니까 학비 용도로 쟁여 놨어요. 

남은 300은.... 제가 올해 2월 초까지 회사를 다녔다가 회사 일이 너무 안 맞아서 퇴사를 했어요. 그 때 너무 우울증이 와서 극단적인 생각을 할 정도여서요. 당장 파트타임 말고 풀 근무는 못할 거 같다고 생각해서 자활지원센터를 다니고 있어요. 만근을 하면 한 달에 100-120을 벌어요, 근데 저도 고정 지출이 있고 공과금도 있다보니 120은 빠듯한 게 있어요. 기금 중 300만원은 쪼개서 30만원씩 10달치를 나눴어요. 한 달 생활비를 150으로 맞추면 10달 동안 이직하거나 자격증을 따거나 생활할 수 있게요. 생활비로 나눠 놓았죠.


상_ 10달간의 생활비 보조금이라니... 엄청 빠듯하고 알뜰하고 계획적이네요... 잘 지켜져요?

M_  지금까지는 잘 지켜지고 있어요. 다행히 제가 쓰는 글이 잘 되어가지고 프로모션을 받게 되었어요. 그게 잘 되면 좀 더 목돈을 벌 수도 있거든요. 그렇다면 자격증 딸 기간을 더 길게 잡고 더 맘 편하게 생활하거나 그렇게 될 거 같아요.

(※ 편집자주 _ M은 인터넷 소설 작가일도 합니다) 


상_ 500만원으로 지르고 싶은 것은 없었어요? 

M_  있었는데... 글 쓴 거 돈 받으면 노트북 바꾸고 싶어요. (지금도 불편한 거잖아요) 네 맞아요. 

제 하루 일과가 9시에 출근해서 4시에 퇴근하고, 11시나 자정까지 스터디카페에서 공부하고, 집에가서 새벽 2-3시까지 글쓰고, 아침 7시에 일어나서 출근을 해요. 이렇게 계속 하니 너무 힘들어서 글을 안 쓰는 날도 있었는데 그래도 일찍 잠을 못자겠더라고요. 

 


상_ 하루 스케쥴이 너무 타이트하고, 조금이라도 쉬기가 어려운 상황이었나 봐요.

M_  제가 지금 이렇게 타이트하게 움직이게 되는 거는, 조금만 퍼지면 현타가 또 오고 우울해지고 우울에 깊이 빠져버려서 제가 더 타이트하게 하는 것도 있는 것 같아요 올해 초는 넉다운이 되었거든요. 스무살 때부터 계속 일을 했고, 작년에는 휴일이나 명절에도 안 쉬고 계속 일했어요 안 쉬고 계속 일하다 보니 더 힘든 게 온 거 같아요. 그래도 Go! 261 지원금을 받아서 조금이라도 편하게..... 숨구멍이죠, 숨구멍. 조금이라도 편하게요.


상_  청소년주거권네트워크에서 하는 “청소년에게 ‘집다운 집’을 내놔라“ 캠페인을 상담소도 같이 하고 있는데요, ‘집다운 집’, M에게는 어떤 집이 집다운 집이예요? 

M_  집다운 집은... 솔직히 진짜 집다운 집이라고 하면, 음. 희망적인 건 ‘제가 살고 싶은 집’에 사는 거요. 음...... 돈에 구애 받지 않는다면 저는... (어떤 집인데요?) 저는 좀 다른 건 바라지 않고 깨끗한 집이요. 조금 하자가 있더라도 깨끗한 집에서요. 애완동물하고 살고 싶은 게 꿈이예요. 고양이랑. 일단 한 마리. 그냥 정말 제 몸 하나 편히 누울 수 있는 집. 그냥 정붙일 수 있는 집.


상_  지금 살고 있는 자취집은 어때요?

M_  주거를 생각을 하니까 떠오르는데 작년에 모 자립지원 거주시설에서 거주를 했다가 갑자기 나가게 되었어요. 2020년 11월까지 나가야 했는데 당시엔 너무 스트레스를 받고, 세상이 암담해지고 그 때는 정말..... 순간 뇌가 고장났던 거 같아요. 일단 저라도 멘탈을 붙들고 당장 일하던 곳에 가서 대출을 알아보고...
근데 그 얘기를 듣고 나서는 그 집이 편하지 않은 거예요. 정말 맘 놓고 편하게 살 수 있는 곳, 계약 기간만이라도. 언제 나갈지, 언제 쫓겨날지 모르는 두려움 없이. 내가 스스로 결정해서 나갈 수 있는 집. 그게 정말 집다운 집이지 않을까 해요.  
그래도 지금은 괜찮아요. 그 때 무너지고 올라와서 회복 탄력성도 생긴 거 같고. 집 보러 다니면서 집 보는 눈도 키워진 거 같고. 지금은 마냥 나쁘다고 생각하지는 않아요.  

 


상_  M은 글쓰기, 그림, 공부 하고 있잖아요. 세 가지를 하면 어때요?

M_  글이랑 그림은 플랜B였어요. 첫 번째 목표는 변호사였고요. 그런데 현실과 부딪히면서 대학원 갈 비용이 없다고 생각하고 플랜 비가 플랜 에이가 되어서 이걸 해보자 싶기도 해요. 취미삼아 했지만 운 좋게 출판사에 들어가서 출간도 하게 되었고요.
 
제 약점이 많이 들어간 작품이기도 했어요. 단란한 가정을 쓰기가 힘들고, 우울한 감정은 오히려 술술 써지더라고요. 엄마라는 존재는 쓰기 싫어서 안 넣었고요. 상업이 되어야 하니까 글을 팔아야지, 하면서 쓰는데, 쓰면서도 내가 원했던 게 뭘까? 단란한 가정일까? 싶더라고요. 내가 가졌던 트라우마를 주변 또래에겐 말할 수 없었는데 글로 쓴 거 같아요. 사람들이 다는 댓글을 보면서 위로를 받았고, 이해받는 기분이 들기도 하고요. 글 쓰면서 치유가 되기도 하고 많이 힘들기도 했어요. 

상_  M이 또 다른 성폭력피해 생존자의 글에 그림을 그리기도 하셨잖아요. 앞으로의 작업들이 기대가 되어요.

 

 

상_  이제 마무리 해야 할 시간이네요. 마지막으로 인사와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요?

M_  제가 모 시사프로그램에 나간 적이 있어요. 아동학대 사건 크게 터졌을 때요. 아동학대 편 생존자 인터뷰를 받는다고 해서 제가 신청해서 찍고 방송에 나갔어요. 최종 방송을 보면서 느낀 게.. 생존자들한테 좀 더 관심이라고 해야 하나, 생존자는 물론이고 언제 어디서 벌어질지 모르는 아동학대 사건들에 관심을 가져주기를 바라요. 


사회에서는 사건 한번 터지면 훅 관심 줬다가 사라지잖아요. 아동학대도 그 중 하나라고 생각해요. 성폭력도, 아동학대도. 좀 더 잊지 말고 기억을 해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어요. 그 방송 인터뷰에서도 말했지만 사회가 변하지 않으면 끝까지 변하지 않을 것 같아요. 그래서 좀 더 많은 관심을 가져달라고요.  

상_  잊지 않고 관심을 갖는 실천 방법을 제안해주신다면요?

M_  성폭력 피해자의 경우에는 너도 잘못한 거 아니냐? 하는 게 강하잖아요. 그런 인식이 잘못된 거라는 걸 아는 것부터 실천이라고 생각해요. 바뀌는 인식이 모이면 커지잖아요. 그러면 사회의 시선도 언젠가 달라지고, 그러면 피해자가 신고를 하거나 지원을 받을 때 눈치보지 않게 되고 그럼 더 큰 피해를 막지 않을까요. 



 

 

따뜻한 오후 볕이 무디어질 무렵, 벚꽃 아래 카페에서 인터뷰는 끝나고 소소한 이야기를 좀 더 나눴습니다. 그러나 긴 대화는 어려웠어요. M은 일을 하러 가야 하는 일정이었기 때문에요. 

‘일상회복’에는 어떤 것이 필요할까요. M이 말한 그 조건과 요소들은 이러했습니다. 



아프면 하루 쉴 수도 있는 일자리, 쉼과 돈,

혼자서 끙끙 앓지 않고 제때 약을 먹거나 병원 가자고 말해주는 친구와 관계,

반려고양이와 살아도 되는 집,

하고 싶은 일을 공부하고 자격증도 딸 수 있는 학비와 생활비,

깎아내거나 내쫓거나 모욕하지 않고 제대로 존중하고 보상하고 미리 알리는 직장 그리고 여러가지 계약들,

길게 상담받고 도움받을 수 있는 지원제도,

절실한 사회적 요구를 말하고 정책 제안을 할 수 있는 기회와 그게 실현되는 것을 보는 사회.

 

 

"달리고 싶을 때 달릴 수 있고, 쉬고 걷고 싶을 때 걸어도 괜찮은 사회"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그러고 보니 다시 여성신문사 마라톤이 생각났습니다.

 

운동화 끈 동여매고 달리기 시작하지만, 계속 달릴 수만은 없더라고요. 숨차고 무릎 발목 어깨 머리 허리.... 그동안의 통증과 피로가 몸에 알알이 짐지워져 있어서요. 속도를 줄이며 걷다 보니 앉아서 쉬어 가는 친구도 만났어요. 천천히 걷다보면 시원한 바람이 불어옵니다. 내 몸이 하는 말도 들리고요. 그러다 힘내서 다시 달리고 저 멀리 결승선도 보이더라고요. 결승선 지나서도 숨이 차지만, 물도 마시고 빵도 먹고요. 

소소한 일상의 요구와 바람들이 현실에서는 아직 어려워 보일 때, 또 힘내서 같이 외치고 말해야겠어요. 그것들을 우리 삶으로, 사회적인 것으로 이루어내기 위해서 말입니다. 같이 걷고 뛰면서요. 

 

 

 

※ 여성신문 ‘제21회 여성마라톤 with 랜선 스포츠’는 2021년에도 계속됩니다. 모집기간 2021.4.8.-5.10 참여인증기간은 2021.5.22.-5.31 신청링크 on-womenmarathon.co.kr

 

 

여성마라톤 with 랜선스포츠, 2021여성마라톤대회

여성마라톤 with 랜선스포츠, 2021여성마라톤대회, 랜선스포츠, 2021년 4월 8일(목) ~ 5월 10일(월), 선착순 6,000명

on-womenmarathon.co.kr

※ 열림터에서 2021년 또우리폴짝기금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신청기간 2021.4.1.-4.30, 지원금액 50만원이고 열림터를 퇴소한 지 1년이 지났고, 작년에 폴짝기금을 받지 않은 사람이라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안내문과 신청서는 yeolim.tistory.com/198

 

 

 

[모집] 2021년 또우리폴짝기금 신청하세요!

열림터 생활인들에게 가장 설레면서도 무서운 일이 ‘자립’인 것 같아요. 자립은 자기 삶을 스스로 계획하고 주도하는 일이라 신나죠. 하지만 어려운 일이 생기면 어떡하지? 좀 두려울 수 있죠

yeolim.tistory.com